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인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 ‘언론 속 정신건강 바로보기’ 세미나 열어

[인천투데이 이종선 기자] 최근 언론이 각종 범죄 사건을 보도하면서 정신질환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자연스레 정신질환이 범죄 원인이라는 식의 오해와 불안이 만연하고 있다. 언론의 이런 편견 조장을 없애기 위해 언론의 역할을 고민하는 자리가 열렸다.

인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지난 24일 인천문화예술회관 1층 회의장에서 ‘언론 속 정신건강 바로 보기’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대다수 국민, 정신질환 이해하지만 낙인효과 두려워해”

첫 번째 발표는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편견’을 주제로 했다. 조근호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과장이 지난 4년간 실시한 ‘대국민 정신건강 지식과 태도 조사’ 결과를 가지고 발표했다.

이 조사 결과, 정신질환에 대한 지식ㆍ태도ㆍ경험 수준은 높았으나 관련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를 가정으로 한 행동 수준은 낮았다.

▲‘정신질환은 누구나 걸릴 수 있다’ ▲‘정신질환은 치료 가능하다’ ▲‘정신건강문제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다’를 ‘그렇다 또는 그렇지 않다’로 물었을 때, 질문 세 가지 모두 응답자의 70% 이상이 ‘그렇다’로 답했다. 그러나 ‘한 번이라도 정신질환에 걸리면 평생 문제가 있을 것이다’라는 질문에 절반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하다’는 질문에 90%가량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두고 조 과장은 “대부분의 사람이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낙인효과’를 두려워한다. 편견과 차별이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이는 ‘인식 낙인(=정신질환을 지식 측면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저해하는 요소)’ 수준은 낮지만 ‘행동 낙인(=외향 측면에서 적절한 행동을 저해하는 요소)’ 수준은 높은 데서 생기는 괴리 때문이며, 이는 인지 대비 행동 비율을 낮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즉, 대부분의 사람이 정신질환에 걸릴 수도 있고 치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자신에게 정신질환 의심증상이 나타나도 진료 받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지난해 실시한 ‘본인의 정신건강문제 상담 대상이 누구인가’를 묻는 조사에서 응답자 중 11.7%만이 ‘정신과 의사’라고 대답했다. 대부분 가족ㆍ친구ㆍ이웃 등에게 상담을 받았다.

“정신질환 경중에 따른 인식개선사업 필요”

조 과장은 이렇게 ‘행동 낙인’이 강한 이유는 “중증 질환의 경우 남들 시선을 신경 쓰는 외적 요인이 강하며, 경증 질환은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기 싫은 내적 요인이 강하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어서 “질환의 경중에 따라 문제를 다르게 보고 접근도 달리 해야 한다”며 인식개선사업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 과장은 정신건강의 중요성이 신체건강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이 세계적 추세라고 한 뒤, “WHO(세계보건기구)나 UN(유엔)이 세계 건강 수준을 검사할 때마다 정신건강 분야가 빠지지 않는다. 정신건강문제 방치는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생산성 손실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선정주의에 갇힌 언론, 자극적 표현 남발

이어진 발제에서 권대익 <한국일보> 의학전문기자는 한국 사회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설명하며 조현병 환자를 예로 들었다.

그는 “많은 사람이 조현병 환자를 잠재적 살인자로 보지만, 조현병 환자가 일반인과 다른 점은 별로 없다”며 “내시 균형(Nash Equilibrium) 이론을 정립해 1994년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존 내시도 조현병 환자였다”고 말했다.

이어서 2015년 대검찰청 통계를 거론하며 “인구 10만 명당 강력 범죄자 수는 68.2명에 이르지만 정신질환자의 이 비율은 33.7명으로 절반에도 못 미친다. ‘조현병은 살인자가 앓는 병’이라는 편견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조현병 환자가 기사에 등장하면 ‘환자복, 흉기, 살해’처럼 편견을 조장하는 제목을 사용한다”며 “선정주의를 벗어날 수 없는 언론이 자극적인 제목을 추구하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정신질환자 보호ㆍ재활 시스템 부재와 정부 대책 미흡을 지적하는 기사들을 거론하며 “그래도 인식을 개선하는 기사도 나오고 조금씩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5월 15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중증정신질환자 보호ㆍ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 방안’도 부족하지만 발전한 모습”이라고 평가한 뒤 “정치적 의지가 답이다. 정신질환자들이 목소리를 내고 정부가 나서야한다”고 덧붙였다.

‘정신질환으로 인한 범죄’와 ‘정신질환자의 범죄’

마지막 발표는 ‘긍정적 언론 문화를 위한 역할과 방안’을 주제로 박정의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했다.

박 교수는 “사람들의 정치적 관점은 언론에 의해 크게 흔들리지 않지만, 목숨과 관련한 것을 다루면 대다수가 민감해한다”며 광우병ㆍ조류독감ㆍ라돈침대 등, 논란이 된 사안을 열거했다.

또,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2018년 임세원 교수 피살 사건, 최근 경남 진주 방화ㆍ살인사건 등은 용의자가 정신질환과 관련이 없는 데도 언론이 의혹을 주장했다”라며 “사람들이 예민하게 반응하게 언론이 부추긴다”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언론이 프레임을 바꿔나가면서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시각도 개선해야한다고 주문했다. 관점을 개선해야할 대표적 사례로 ‘정신질환자의 범죄’라는 표현을 꼽았다.

그는 “이 표현은 범죄와 정신질환을 동일시한다”며 “‘정신질환으로 인한 범죄’로 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는 것도 문제하고 했다.

박 교수는 “정신질환은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언론이 말하지 않지만 치료 가능성을 보도하지 않음으로써 (국민이) 정보 부재로 느끼는 두려움을 조장한다”며 “이런 보도행태는 정신질환자를 격리하고 수용해야할 대상으로 바라보게 만든다”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미국 유학 생활 시절 버스를 이용하면 지나치게 말을 많이 걸거나 행동이 특이한 정신질환자를 종종 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사회에서 받아들일 생각을 하지 않고 격리했다고 봐야한다”며 “(정신질환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지 못한 것에 언론도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정신질환에 의한 범죄를 선정적으로 보도하지 말 것 ▲정신질환을 겪고 있는 사람을 비정상인으로 묘사하지 말고 질병을 앓고 있는 정상인으로 바라볼 것 ▲정신질환자의 범죄로 보도해 공포심을 조장하지 말 것을 언론에 당부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남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 회원은 “언론 보도에 따라 우리(=정신질환자)를 바라보는 인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앞으로 잘못된 표현을 사용했다면 정정 보도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출처 : 인천투데이(http://www.incheontoday.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7 [스크랩] 코로나19, 내 정신건강을 지키는 법 관리자 2020.03.16 246
976 [스크랩] 벼랑 끝에 선 대학생 정신건강 ② 예산·인력·전문성 총체적 부실 상담신청 후 1~2개월 대기는 기본 관리자 2019.07.15 259
975 [스크랩] [미래생각]정신질환자, 치료의 연속성이 중요하다 관리자 2019.07.12 276
974 [스크랩] 정신질환, 낙인찍는 언론과 걷어내는 언론 관리자 2019.07.11 324
973 [스크랩] 벼랑 끝에 선 대학생 정신건강│① 점차 증가하는 고위험군 '비상' 상담학생 중 최대 10%가 '고위험군' 관리자 2019.07.08 1129
972 [스크랩] 조현병 환자도 사람입니다. 관리자 2019.07.01 265
971 [스크랩] 경기도 “정신질환자 사후 관리 강화… 사각지대 막는다” 관리자 2019.05.31 237
970 [스크랩] 윤소하 의원, 정신건강전문요원에 작업치료사 포함法 발의 관리자 2019.05.31 217
» [스크램] “언론의 정신질환 편견 조장, 이제 고쳐야” 관리자 2019.05.29 227
968 [스크램] '게임중독에 이어' WHO, '번아웃' 직업 관련 증상 정의… 정신건강 돌봐야 관리자 2019.05.29 230
967 [스크랩] 사회복지학자 103명, 정부 정신질환 대책 비판 성명 발표 관리자 2019.05.29 257
966 보건복지부 발표(5.15)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 방안 file 관리자 2019.05.29 265
965 [스크랩] 스스로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평균 72.5세 관리자 2019.02.11 179
964 [스크랩] 한국형 커뮤니티케어 전국 8개 지자체서 2년간 시범사업 관리자 2019.02.11 189
963 [스크랩] "초기환자, 심리상담만으로 완치 가능..적극치료 위해 가족·국가 역할 중요" 관리자 2019.02.08 264
962 [스크랩] 대신정에서 바라보는 임세원 법,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안의 의미는? 관리자 2019.02.08 189
961 [스크랩] '정신질환 낙인' 겁나 비보험 치료...경제·편견 이중고 관리자 2019.01.28 197
960 [스크랩] 강제입원 땐 말못할 트라우마..취업도 막혀 경제활동 불가능 관리자 2019.01.28 222
959 [스크랩] 伊 폐쇄병동 아닌 열린 정신보건센터 도입...日 마음병 환자에 맞춤형 일자리 제공 관리자 2019.01.22 205
958 [스크랩] “중학생 형 집에서 포르노를”…초등학생 성범죄 실태 아시나요 관리자 2019.01.22 3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