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8.30.월.조간]_5개년(13-17)_전국_자살사망_분석_보고서_발간.

hwp (별첨)_5개년_전국_자살사망자_분석_보고서.pdf

5개년(‘13~‘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보고서 발간

 자살사망자 수*(13,851명→11,690명)와 자살사망 발생률**(27.4→22.8) 감소 추이

   * 전수조사 기준 자살사망자 수로 통계청 기준과 상이 ** 연앙인구 10만 명 당 전수조사 기준 자살사망자 수

자살의 주요 원인은 정신건강문제(23,150명, 36.1%), 경제문제(12,504명, 19.5%), 신체건강문제(11,159명, 17.4%) 순으로 확인

건강보험료 분위별 분석 결과, 경제수준 악화가 자살에 일부 영향
(자살사망 발생률은 분위구간 하락 시 (41.9명) > 상승 시(36..9명) > 유지 시(35.1명) 순)

5년간 발생한 자살사망자 중 정신질환 이력이 있는 경우는 56.2%, 신체질환 이력이 있는 경우는 81.6%로 확인

정신질환 또는 만성신체질환을 보유한 경우 자살 사망 발생률이 높게 확인(정신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 발생률 215.5명, 만성신체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 발생률 66.1명)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은 지난 5년(’13~‘17)동안 발생한 자살사망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주요 원인, 다빈도 지역 등을 분석한「5개년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자살예방정책의 5년 단위 기본계획인「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18~‘22)*」에 따라 2018년부터 총 3년간 경찰청과 협력을 통해 추진된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사업**의 결과이다.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조성에 관한 법률 제 7조(자살예방 기본계획의 수립)

2013년부터 2017년도까지 5개년 간 경찰 변사사건 조사기록과 더불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연계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5년간 발생한 자살사망자 64,124명의 특성 및 관련 요인을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표 1. 자살통계 및 원인분석 방법의 특성 비교 >

 
  기존의 자살통계 (통계청)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경찰청 변사사건 조사기록 기준)

기초

자료

•사망신고 + 경찰 형사사법정보
* 매년 자살자 전수
•경찰청 변사사건 조사기록
* 5년간 자살자 전수

지역단위

•시도/시군구 단위 •시도/시군구 및 읍면동 별 동향 파악 가능
기준 •사망자의 주소지 기준 •사망자의 발견지, 수사 의뢰기준

주요

결과

•자살률(성별/연령별/직업별), 자살원인, 자살수단, 장소(주택/숙박업소/야외 등) •기존 자살통계 및 자살자의 질환 이력, 스트레스 요인, 과거 시도이력 등 •정확한 사망지점, 발견시점, 실거주지, 동반자살 여부, 유서 및 유품 등
장점 •전국 단위의
정확한 자살통계 산출
•지역 단위의 자살특성 파악 가능
단점 •지역별 자살 특성 파악에 한계 •기재된 정보의 재확인 및 수정․보완 곤란

「5개년(2013~20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는 <전국편>, <시도편>, <주제별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편: 전수조사 기준 전국 자살사망 현황>에서는 전체 자살사망자의 현황 및 추이를 성별, 생애주기, 가구형태 등 특성별*로 소개하였다.

* 성별, 생애주기, 가구형태, 발견장소, 자살방법, 주원인

- 이어, <전국편: 건강보험 연계 데이터분석>에서는 자살사망자의 건강보험료분위, 건강보험 가입상태,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치료 이력, 장애 종류에 대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시도편>에서는 17개 시도별로 기초 현황 및 건강보험 연계 자료 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개별 시도의 특성을 전국 경향과 비교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제별 분석>에서는 자살 다빈도 지역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①공원, ②강 일대, ③도로변(차량 내 가스중독), ④영구 임대 아파트의 네 가지 다빈도 장소 유형이 도출되었다.

- 파급효과, 낙인효과 등을 감안하여 유형별 세부 장소는 소관 지자체에만 별도로 제공될 예정이며, 해당 지자체는 이를 기반으로 근거 기반의 자살예방정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5개년(2013~20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살사망자 수) 통계청 기준 자살사망자 수*와 마찬가지로 전수조사 기준 자살사망자 수**도 점차 감소하였다.

* (’13) 14,427명 → (’14) 13,836명 → (’15) 13,513명 → (’16) 13,092명 → (’17) 12,463명

** (’13) 13,851명 → (’14) 13,154명 → (’15) 12,955명 → (’16) 12,474명 → (’17) 11,690명

※ 경찰에 수사 의뢰되지 않고 사망신고가 된 경우, 전수조사 기준 자살사망자 수에 미포함 

- (자살사망 발생률*) 연평균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자 수는 25.2명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감소**하였다.

* 연앙 인구 10만 명 당 (경찰 수사 기록 집계) 자살사망자 수, 지역별 연령표준화 적용

** (’13) 27.4명 → (’14) 25.9명 → (’15) 25.4명 → (’16) 24.4명 → (’17) 22.8명 

<표2> 자살사망자 수 기준 분포도 <그림 붙임 참조>

<표2-1> 자살사망 발생률 기준 분포도 <그림 붙임 참조>

(성별) 남성 자살사망자 수는 5개년 평균 9,029명으로 여성 자살사망자 수 3,796명에 비해 약 2.4배 높게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남성과 여성 자살사망자 수는 모두 감소하였다.

* 남성 (’13) 9,631명 → (’14) 9,239명 → (’15) 9,152명 → (’16) 8,811명 → (’17) 8,311명

여성 (’13) 4,220명 → (’14) 3,915명 → (’15) 3,803명 → (’16) 3,663명 → (’17) 3,379명

- 다른 지역에 비해 남성 자살사망자 수가 많은 지역은 제주도(74.7%), 강원도(74.3%), 전라북도(73.9%) 순이며, 여성 자살사망자 수가 많은 지역은 대전광역시(34.1%), 서울특별시(33.0%), 대구광역시(31.5%) 순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 5개년(’13~‘17) 자살사망자 수의 생애주기별 비율은 장년기(28.1%), 중년기(27.7%), 노년기(27.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도별로는 전체 생애주기에서 자살사망자 수가 감소하였다.

* 아동기(18세 이하), 청년기(19세~34세), 중년기(35세~49세), 장년기(50~64세), 노년기(65세 이상)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

- 생애주기별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 발생률은 노년기(51.4명)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장년기(32.4명), 중년기(27.7명), 청년기(18.1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 3. 생애주기별 자살사망자 수와 발생률>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평균
아동기 (1.5%) 자살사망자수 228 181 182 173 182 189
자살사망발생률 2.2 1.8 1.9 1.8 2.0 2.0
청년기 (15.7%) 자살사망자수 2,246 2,154 1,946 1,931 1,785 2,012
자살사망발생률 19.7 19.1 17.5 17.6 16.6 18.1
중년기 (27.7%) 자살사망자수 3,892 3,817 3,459 3,375 3,214 3,551
자살사망발생률 30.3 29.8 27.0 26.3 25.2 27.7
장년기 (28.1%) 자살사망자수 3,792 3,700 3,672 3,569 3,299 3,606
자살사망발생률 36.1 34.1 32.8 30.9 28.0 32.4
노년기 (27.0%) 자살사망자수 3,693 3,302 3,696 3,426 3,210 3,465
자살사망발생률 59.1 50.6 54.6 49.0 43.6 51.4

- 지역별 5개년(’13~‘17) 자살사망자*를 분석하였을 때, 지역 내 자살사망자 중 장년기 자살사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31.9%), 중년기의 경우 “제주도”(32.6%), 노년기의 경우 “전라남도”(34.5%), 청년기의 경우 “광주광역시”(21.1%)로 나타났다. 

* 청년기 : 광주(21.1%) > 서울(19.9%) > 대전(18.5%) / 전국 평균 15.7%

중년기 : 제주(32.6%) > 울산(30.5%) > 경기(29.7%) / 전국 평균 27.7%

장년기 : 세종(31.9%) > 대구(30.7%) > 울산(30.3%) / 전국 평균 28.1%

노년기 : 전남(34.5%) > 충남(34.1%) > 전북(32.7%) / 전국 평균 27.0%

아동기 : 울산(2.5%) > 광주(2.5%) > 대구(2.1%) / 전국 평균 1.5%

(가구형태) 5개년(’13~‘17) 평균 자살사망자 수는 2인 이상(67.5%), 1인 가구(28.0%), 미상(3.5%) 순이며, 전체 자살사망자 수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 (’13) 27.0% → (‘14) 28.8% → (’15) 29.2% → (‘16) 30.0% → (’17) 30.1%

(발견장소) 연도별로 자택(연평균 56.7%) 발견이 가장 많고, 공공장소(연평균 27.8%), 숙박업소(연평균 4.3%), 교외·야산(연평균 4.0%), 학교·직장(연평균 3.5%) 순으로 확인되었다.

- 지역 내 5개년(’13~‘17) 전체 발견장소 중 자택에서 발견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광역시”(60.7%), 공공장소 발견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29.3%), 숙박업소의 경우 “강원도”(6.9%), 교외야산은 “충청남도”(6.8%)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 자택 : 인천(60.7%) > 서울(59.2%) > 대전(58.8%) / 평균 56.7%
공공장소 : 울산(29.3%) > 경기(29.3%) > 전북(28.6%) / 평균 27.8%
숙박업소 : 강원(6.9%) > 광주(6.2%) > 제주(5.8%) / 평균 4.3%
교외야산 : 충남(6.8%) > 경남(6.1%) > 강원(5.8%) / 평균 4.0%

(자살수단) 목맴(33,240명, 51.9%)이 가장 많았으며, 투신(9,786명, 15.3%), 가스중독(9,723명, 15.2%) 순으로 나타났다.

- 맹독성 농약 유통 금지(‘12.11.) 등 정책적 노력의 결과 농약 음독으로 인한 자살사망자 수*는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 (’13) 1,551명 → (‘14) 1,166명 → (’15) 1,130명 → (‘16) 1,137명 → (’17) 909명

- 지역 내 5개년(’13~‘17) 전체 자살사망자 중 목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서울특별시”(56.7%), 투신의 경우 “광주광역시”(23.5%), 가스중독의 경우 “울산광역시”(17.7%)로 나타났다.

* 목맴 : 서울(56.7%) > 인천(56.3%) > 대전(53.7%) / 평균 51.9%
투신 : 광주(23.5%) > 서울(20.0%), 대구(20.0%) / 평균 15.3%
가스중독 : 울산(17.7%) > 강원(17.3%) > 충북(17.3%) / 평균 15.2%

(주원인) 자살의 주요 원인은 정신건강문제(23,150명, 36.1%), 경제문제(12,504명, 19.5%), 신체건강문제(11,159명, 17.4%) 순으로 확인되었다.

- 지역 내 5개년(’13~‘17) 자살사망자 중 정신건강문제로 인한 자살사망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광역시”(47.8%), 경제문제의 경우 “울산광역시”(23.8%), 신체건강문제의 경우 “충청남도”(22.8%)로 나타났다.

* 정신건강 : 부산(47.8%) > 광주(44.6%) > 세종(43.2%) / 평균 36.1%
경제문제 : 울산(23.8%) > 인천(21.7%) > 경기(21.6%) / 평균 19.5%
신체건강 : 충남(22.8%) > 전남(22.5%) > 전북(20.5%) / 평균 17.4%

(경제상태) 건강보험료 분위 구간별 분석 결과, 의료급여구간(43.5명) > 건강보험 하위(1~6분위)구간(30.0명) > 건강보험 중위(7~13분위)구간(24.6명) > 건강보험 상위(14~20분위)구간(19.1명) 순으로 자살사망발생률이 높게 확인되었다.

<표 4 자살사망자의 건강보험료 분위 구간별 자살사망자 수와 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

전년도 대비 자살 당해년도의 자살사망발생률은 분위구간이 하락한 경우(41.9명), 상승한 경우(36.9명) 유지된 경우(35.1명) 순으로 경제수준 악화가 자살에 일부 영향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5 건강보험료 분위 변화에 따른 자살사망자 수와 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

(정신질환) 5년간(’13~17) 자살사망자 중 정신질환 이력이 있던 자살자의 비율은 56.2%이며 정신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발생률 평균은 215.5명으로 전체인구 기준 자살사망발생률(25.2명) 대비 8.6배로 나타났다.

- 정신질환 이력에는 우울장애(22.3%)가 가장 많고, 수면장애(20.1%), 불안장애(15.8%) 순으로 확인되었다.

- 해당 정신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 발생률을 보면, 정신활성화물질사용장애(2129.0명), 성격장애(1074.0명), 알코올사용장애(903.4명) 순으로 확인되었다

<표6 세부 정신질환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사망 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

(만성신체질환) 5년간(’13~17) 자살사망자 중 만성신체질환 이력이 있던 자살자의 비율은 81.6%이며, 만성신체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 발생률은 66.1명으로 전체 인구 기준(25.2명) 대비 2.6배로 나타났다.

- 세부 질환 이력에는 신경계 질환 자살사망자 수(18.6%)가 가장 많았고, 관절염(17.2%), 고혈압 사망자(13.3%) 순으로 확인되었다.

- 해당 만성신체질환자 10만 명당 자살사망발생률을 보면, 호흡기결핵(550.9명), 간질환(240.9명), 암(230.6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 7 세부 만성신체질환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사망 발생률>

「5개년(2013~207)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는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자체 및 지역 자살예방센터 등 실무자 등에게도 배포될 예정이다.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 http://www.kfsp.org/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자살의 현황과 시도별 특성을 확인하고, 근거 기반의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특히, 지역에서 다빈도 지역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자살예방시설 설치, 순찰 등 관리감독 강화 등 맞춤형 자살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분석보고서를 통해 사회경제적 상태나 기저 질환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보고서 내용을 활용하여 다양한 관계부처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선제적으로 자살예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황태연 이사장은 “경찰청의 협조를 통해 수집된 전수조사 자료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연계한 빅데이터를 심층 분석하여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가 발간되었다.”라며,

“여러 유관 기관의 관심과 협력을 통해 도출된 결과물이 지자체 및 현장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별첨 > 5개년 전국 자살사망자 전국보고서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알림 > 보도자료 내용보기 - ‘자살’ 검색결과 " 5개년(‘13~‘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보고서 발간 "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mohw.go.kr)  담당부서: 자살예방정책과/ 담당자: 박소영]

?

  1. [스크랩]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분야 미래 전략 모색

    Date2021.10.15 Byadmin Views2442
    Read More
  2. [스크랩] 정신건강복지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10.8~11.17)

    Date2021.10.14 Byadmin Views590
    Read More
  3. [스크랩] 지난 10년간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 근거중심 정신의료서비스 정책개발을 위한 심포지엄

    Date2021.10.14 Byadmin Views397
    Read More
  4. [스크랩] 장애인 복지에서도 소외된 정신장애인···‘장애인복지법 15조 폐지 연대’ 출범

    Date2021.10.05 Byadmin Views408
    Read More
  5. [스크랩] 자살예방을 위해 함께해 온 우리의 10년, 함께 만들 새로운 내일

    Date2021.10.05 Byadmin Views329
    Read More
  6. [스크랩]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R&D) 획기적 투자를 위한 첫걸음 시작

    Date2021.09.09 Byadmin Views390
    Read More
  7. [스크랩] 2021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Date2021.09.09 Byadmin Views392
    Read More
  8. [스크랩] 국민 모두의 마음이 안심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마음안심버스가 함께 합니다.

    Date2021.09.09 Byadmin Views292
    Read More
  9. [스크랩] 보건복지분야 청년특별대책 주요 내용 안내

    Date2021.09.09 Byadmin Views445
    Read More
  10. [스크랩] 5개년('13~'17) 전국 자살사망 분석 보고서 발간

    Date2021.08.31 Byadmin Views345
    Read More
  11. [스크랩][마음상담소] 몰라서 불안한 것이다

    Date2021.05.21 By관리자 Views765
    Read More
  12. [스크랩][마음 상담소] 우리마을의 봄

    Date2021.05.07 By관리자 Views514
    Read More
  13. [스크랩] 현진희 교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유공으로 정부포상(훈격 근정포장)

    Date2021.04.27 By관리자 Views752
    Read More
  14. [스크랩][중앙지원단] NMHC 정신건강동향 vol.23 (2021년 정신건강복지관련 예산)

    Date2021.03.16 By관리자 Views575
    Read More
  15. [스크랩]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의료기관 인프라 구축' 간담회 실시

    Date2021.03.16 By관리자 Views579
    Read More
  16. [스크랩]온라인으로 진단하는 정신건강

    Date2021.02.15 By관리자 Views415
    Read More
  17. [스크랩]전북정신건강복지센터, 코로나19 대응인력 역량강화 교육

    Date2021.02.08 By관리자 Views348
    Read More
  18. [스크랩]코로나19 정신건강 상담자 절반 이상이 불안·우울 호소

    Date2021.02.01 By관리자 Views471
    Read More
  19. [스크랩]정신건강 전문인력 OECD 1/6 수준

    Date2021.01.25 By관리자 Views696
    Read More
  20. [스크랩]코로나19 장기화로 정신건강 심각…정부, 5년간 정신 분야에 2조 투입

    Date2021.01.18 By관리자 Views4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