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우리나라 전 연령층 가운데 20대가 가장 많이 ‘강박장애’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과 가정생활에서의 어려움 등의 스트레스가 전문가들이 꼽는 대표적 원인이다.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현대인 모두 쉽게 겪을 수 있는 질환인 셈이다.

연평균 3.1%씩 증가… 여성보다 남성이 약 1.4배 많이 겪어
강박장애는 스스로 지나치고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강박적인 사고나 강박적인 행동을 지속, 결국 자신의 일상생활이나 사회적인 활동에 제한을 받는 정신질환이다. 불안장애의 하나로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나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사고에서 벗어나기 위해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확인하기, 숫자세기, 손씻기, 대칭맞추기 등이 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불안과 초조를 동반한 ‘강박장애’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10년 2만490명에서 2014년 2만3천174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3.1%씩 증가한 셈이다.

이 중 2014년 남성 진료 환자는 1만3천395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57.8%를 차지, 여성 보다 약 1.4배 더 많았다. 그러나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여성(3.4%)이 남성(2.9%)보다 0.5%P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14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강박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남녀 모두 2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남성은 20대 106.2명, 30대 69.9명, 10대 61.2명 순이었다. 여성은 20대 64.1명, 30대 53.3명, 40대 41.1명 순으로 강박환자가 많았다. 남녀 간 격차는 10~20대에 1.5~1.7배로 가장 컸다.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강박장애는 전형적으로 10대~20대에 많이 발병하며, 특히 20대에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다가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증상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 생활 및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성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분위기 조성이 예방 첫걸음
강박장애를 겪는 환자들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계속 생각하면서 스스로 불안해하고, 이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자신만의 대책으로 강박행동을 벌인다. 예를 들어 ‘숫자 3을 생각했을 때 운이 없다고 여겨 종이를 3개 찢어버리는 행동’처럼 비이성적인 사고와 행동이 하는 것이다.

이 같은 강박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뿐 결과적으로 불안을 증가시켜 악순환을 일으킨다. 환자 역시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비합리적인 것을 알고 있지만 멈출수 없고 심한 경우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 받는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 행동치료다. 일단 자신의 사고와 행동의 불합리한 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스스로 벗어날 수 있도록 정신을 무장해야 한다. 약물치료가 이를 돕는다. 많은 임상 연구에서 그 효과를 입증했는데, 대표적인 약물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SSRI(serotonin-specific reuptake inhibitor)이다. 일반적으로 4~6주에 효과가 나타나고 최대 8~16주에 나타난다.

이 교수는 “완벽하고 강압적인 분위기보다는 편안하고, 화합하는 분위기에서 지내게 하고, 성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지적하기 보다는 스스로 고쳐 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류설아기자

<저작권자 ⓒ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일보 2016.02.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7 [스크랩] 3가구 중 1가구 가족갈등…세대간 갈등 가장 많아 관리자 2015.11.04 939
916 [스크랩] "암 경험자 140만명시대, 미흡한 정신건강 관리" 관리자 2016.12.14 939
915 [스크랩] "정신질환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이웃 사람은 안돼" 관리자 2016.08.09 938
914 [스크랩] 보호자 수 속인 정신병원 입원 ‘인권침해’ 관리자 2013.08.13 937
913 [스크랩] 우울증 환자 급증…특히 회사 가기 싫은 직장인 '주목' 관리자 2014.10.29 937
912 [스크랩] "스마트폰 중독된 청소년일수록 자살생각 많이 해" 관리자 2016.02.02 935
911 [스크랩] 인권위원장 "조현병자 행정입원, 편견 키울 수 있다" 관리자 2016.06.03 934
910 [스크랩] 정신병 진료비 부풀려 받거나·무자격자 치료 지시 '적발' 관리자 2016.08.18 934
909 [스크랩] 황혼이혼 남성 분노·외로움 커…자녀 관심이 ‘생명줄’ 관리자 2016.12.12 934
908 [스크랩] 자폐증·조현병·ADHD 등에 나타나는 '사회성 결여' 원인 밝혀 관리자 2015.02.04 933
907 [스크랩] ‘친권의 덫’에 걸린 아동학대 피해자들 관리자 2016.08.31 933
906 [스크랩] 인간관계 윤활유 '술' … 과하면 마약 못잖은 중독 일으켜 관리자 2016.01.06 931
» [스크랩] 미래에 대한 불안… 강박장애 시달리는 청춘 관리자 2016.02.16 931
904 [스크랩]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대화할 때 피해야 할 7가지 말 관리자 2016.08.26 931
903 [스크랩] 술 · 정신장애로 가벼운 범죄 저질러도 치료명령 받는다. 관리자 2016.12.08 929
902 [스크랩] 파업 50일차 승리, 서울시정신보건지부 오늘 업무 복귀 관리자 2016.11.28 925
901 [스크랩] "개정 정신보건법, 민간의료기관에 책임 떠넘길텐가" 관리자 2016.12.28 925
900 [스크랩] 국립정신건강센터장에 이 철 전 울산대 총장 임용 file 관리자 2016.10.13 923
899 [스크랩] 「정신보건법」 전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file 관리자 2013.05.28 922
898 [스크랩] 고도비만 중년여성, 정신건강 적신호 관리자 2015.12.07 9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