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법원이 국내 재판 절차에서 처음으로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을 통해 한 국세청 직원의 자살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했다.

2009년 11월 말 지방국세청에서 6급 계장으로 일하던 김모 씨(당시 44세)가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했다. 자살 전 김 씨는 정상적인 근무시간보다 40%가량을 초과 근무하고 있었다. 그해 9월 조직 개편 결과로 새로 만들어진 팀의 팀장까지 맡아 업무 스트레스도 극에 달한 상태였다. 김 씨는 직원 3명을 충원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 씨는 일은 과중하게 하면서도 11월 승진 대상자에서 제외되자 중증의 우울증을 앓게 됐다. 과중한 업무에서 벗어나려면 일이 비교적 적은 관내 세무서로 전근할 수 있었지만 ‘지방청의 본청 근무 2년을 못 채우고 관할 세무서로 돌아온 사람’이라는 꼬리표가 달려 앞으로 승진을 못 할까 불안해했다. 그는 결국 가족이 집을 비운 사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김 씨의 옷 주머니에서는 “내가 죽는 이유는 사무실의 업무 과다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입니다”라고 쓰인 유서가 발견됐다. 유족들은 김 씨가 과로와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앓다가 자살했다며 보상금을 청구했지만 공무원연금공단이 ‘본래 성격이나 기질적 원인에 따른 자살’이라며 거부하자 소송을 제기했다.

1심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감정을 의뢰하고 경찰의 사건 조사 서류, 국세청의 내부심사 자료를 기초로 “김 씨의 과중한 업무가 우울증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유족은 1심에서 재판부의 조사가 부족했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증인 신문하지 않았다며 항소했다.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고법 행정9부(부장판사 박형남)는 법원행정처의 도움을 받아 자살 사례를 1000건 이상 연구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감정인으로 지정해 심리적 부검에 나섰다.

감정인은 1심 자료는 물론이고 김 씨의 부인과 자녀 2명, 어머니, 가깝게 지낸 직장 동료 선후배 3명을 개별 심층 면담했다. 그 결과 △평소에 동료에게 농담이나 프로야구 이야기를 하는 걸 좋아했는데 죽기 한 달 전엔 말수가 현저히 줄어서 업무 이야기 외에는 하지도 않았고 잘 웃지도 않았다 △평소 업무를 꼼꼼하게 처리했는데 다른 내용 서류를 1개 파일에 같이 편철하고 책상도 정리하지 않았다 △힘들어도 밖으로 표현을 하지 않는 성격이었는데 부하 직원에게 “직원 충원 안 해 주니 죽을 만큼 힘들다”고 자주 토로했다는 등의 구체적 내용을 새로 밝혀냈다.

항소심 재판부는 심리적 부검 결과 등을 바탕으로 유족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중증의 우울증으로 정신적 억제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에서 공무상 스트레스와 절망감이 함께 작용해 김 씨가 자살했기 때문에 업무와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며 “공무원연금공단은 유족에게 보상하라”고 밝혔다.

법원 관계자는 “그동안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진료 기록이나 사건 조사 기록을 보고 자살 원인에 대한 해석을 듣는 정도에 그쳤지만 이번 판결은 심층적으로 심리적 부검을 실시해 자살 원인을 좀 더 명확히 하고, 그 결과를 증거로서 받아들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심리적 부검(Psychological Autopsy) ::


전문감정인이 자살자 행적-주변 조사… 사망이전 심리변화 재구성

자살이 발생할 경우 자살자의 행적과 글, 가족과 동료 등 주변 사람에 대한 인터뷰, 질병 등을 자세히 조사해 그 사람이 왜 자살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밝히는 작업. 전문적 감정인이 이 같은 조사를 통해 사망 이전 일정 기간의 심리 상태와 변화를 재구성한다. 국내에서는 2009년 보건복지부가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심리적 부검을 실시한 바 있고, 올해 초 부산시와 부산지방경찰청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경찰관이 필요한 자살자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의 심리적 부검을 도입했다.

해외에서는 자살 동기를 규명하거나 자살 예방 정책을 세우기 위해 심리적 부검을 실시하고 있다. 핀란드는 1986년부터 전문가들이 자살자 1300명의 유족을 심층 조사해 4년간 분석한 뒤 자살위험군에 대한 대책을 세워 추진한 결과 10만 명당 30.3명이던 자살률을 20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일본도 국가 차원의 심리적 부검을 통해 자살률을 낮추고 있다.

동아일보 장선희 기자 sun10@donga.com (2013.12.23)
출처 : http://news.donga.com/3/all/20131223/59720132/1

 
?

  1.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28 by 관리자
    Views 681 

    [스크랩] 학생 정신건강에 필요한 검사·치료비 지원한다

  2. [스크랩]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생활 캠페인·제도 마련해야

  3. [스크랩] 몸의 건강처럼 정신건강도 생애주기별 검진이 필요할 때?

  4.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22 by 관리자
    Views 574 

    [스크랩] 한국식 명상 '뇌교육 명상' 직장인 정신건강 증진에도 효과

  5.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20 by 관리자
    Views 629 

    [스크랩] 인권위 “정신보건시설 인권침해 진정사건 급증”

  6.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17 by 관리자
    Views 693 

    [스크랩] 뒷담화 말고...남의 말 좋게 하면 정신 건강↑

  7. [스크랩] 정신보건법 헌법소원으로 ‘강제입원’ 악몽의 세월 끝나길

  8.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14 by 관리자
    Views 712 

    [스크랩] 우울증·자살 등 정신건강문제로 사회비용 10조 넘어

  9. [스크랩] 국가와 기관, 기업들은 구성원들의 건강과 행복에 관심 가져야

  10.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10 by 관리자
    Views 569 

    [스크랩] 새해 보건복지 예산, 국민 정신건강관리와 예방에 신경 써야

  11. No Image 09Jan
    by 관리자
    2014/01/09 by 관리자
    Views 676 

    [스크랩] 직장인 10명중 3명 '정신건강' 고민

  12.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4/01/08 by 관리자
    Views 669 

    [스크랩] 정신건강, 과연 우리는 행복한가

  13. No Image 07Jan
    by 관리자
    2014/01/07 by 관리자
    Views 644 

    [스크랩] 법원, 첫 심리적 부검… 우울증 자살 공무원 업무상 재해 인정

  14. [스크랩] 소방공무원 외상 후 스트레스 치유의 현주소

  15.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3/12/31 by 관리자
    Views 677 

    [스크랩] 정신보건요원 결격사유 ‘파산’ 제외 추진

  16. No Image 30Dec
    by 관리자
    2013/12/30 by 관리자
    Views 4814 

    [스크랩] 정신병원 강제입원은 고려장 …인권위에 진정

  17.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3/12/27 by 관리자
    Views 769 

    [스크랩] 칼럼- 국민의 정신건강을 높일 예방책이 필요하다

  18. No Image 26Dec
    by 관리자
    2013/12/26 by 관리자
    Views 779 

    [스크랩] 자살위험 더 높은 시군구 52곳, 정신보건센터 없어

  19. No Image 10Sep
    by 관리자
    2013/09/10 by 관리자
    Views 834 

    자살보도 권고기준 2.0 발표

  20. No Image update
    by 관리자
    2013/08/13 by 관리자
    Views 937 

    [스크랩] 보호자 수 속인 정신병원 입원 ‘인권침해’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Next
/ 52